
경상남도는 유통 식품의 안전을 강화하고자 올해 연말까지 5천 건에 가까운 수거·검사를 진행한다고 16일 밝혔다.
경남도와 도 보건환경연구원, 18개 시군 모두 참여해 유통 농수산물, 가공식품, 건강기능식품, 기구·용기 등을 검사한다.
최근 소비 흐름에 맞춰 가정간편식, 배달액 조리식품, 온라인 판매식품 등의 검사를 강화한다. 최근 3년간 부적합 식품과 미수거 품목을 중심으로 검사를 진행한다.
잔류 농약과 중금속, 대장균·타르색소 등 유형별 기준·규격, 영양성분·기능성 성분 함량 등을 확인한다. 식중독균 6종과 곰팡이 독소 3종 등의 유해물질 오염도 조사와 함께 식품용 기구·용기는 납·카드뮴 등의 용출 규격을 검사한다.
봄 개학을 대비해 집단급식소 납품 농산물과 식품접객업소의 식용얼음 등을 검사한다.
검사 결과 부적합 식품은 긴급통보시스템에 즉시 등록하고 회수·폐기해 유통을 차단한다. 또, 업체에 대해서는 식품위생법 등 관련 법에 따라 조처한다.
지난해에는 도내 유통식품 5128건을 수거·검사했다. 다른 시도 생산품을 포함해 18건에 대해 부적합 판정을 내려 회수·폐기하고 생산자 고발 등 법적 조처했다.
최근 3년간 도내에서 생산(제조)한 부적합률을 분석한 결과 농산물이 83.9%로 가장 많았다. 가공식품(9%), 조리식품(4.8%) 등의 순이다.